반응형 분류 전체보기35 스쿠버 다이빙과 프리 다이빙을 위한 세계의 딥다이빙 수영장 지난 포스팅에서는 우리나라 수도권에서 갈 수 있는 5m 다이빙풀과 20m 이상의 다이빙 풀들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전 세계에 있는 깊이가 있는 다이빙풀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 바다에서 다이빙을 할 수 있는데 왜 굳이 수영장에서 다이빙을 해야하는가에 대한 의문이 있을 수 있지만 시시각각 환경이 변화하는 바다에서 할 수 없는 교육이나 기술을 연습하기에 좋고 물과 스쿠버 다이빙에 대한 두려움을 극복하기 좋기 때문에 수영장에서 미리 연습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또한 날씨에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아주 추운 겨울에도 즐길 수 있고 조류가 없어서 보다 안정적인 다이빙을 즐길 수 있다는 장점이 있기 때문에 다이빙풀이 주변에 있다면 한 번쯤 이용해 보시길 권장드립니다. 1. 딥 다이브 두바이.. 2025. 2. 12. 바다까지 가지 않아도 괜찮아요 수도권 다이빙풀에서 다이빙 즐기기 1. 수도권 5m 다이빙풀스쿠버 다이빙과 프리 다이빙 모두 바다로 나가기 전 실내(제한수역)에서 훈련을 완료해야 합니다. 제한수역이란 날씨와 바람, 조류 등으로 주변 환경에 영향이 미치지 않는 통제된 장소를 뜻합니다. 여기에는 수영장 혹은 얕은 수심의 잔잔한 해변가 등을 말합니다. 처음 다이빙을 위하여 갈 수 있는 5m 깊이의 다이빙풀을 소개합니다. 참고로 교육 다이버의 경우에는 강사님과 동반하여야 이용이 가능하며, 자격증이 있는 경우 1인이 입장 가능 곳도 있고, 버디와 함께(최소 2인 이상) 입장해야 이용이 가능한 곳이 있으니 확인 후 이용하셔야 합니다. ◎올림픽수영장 다이빙풀88 서울올림픽을 위하여 만들어진 다이빙풀입니다. 현재는 대한수중핀수영협회(CMAS)가 관리하며 운영 중이며, 스쿠버 다이빙과.. 2025. 2. 12. 멸종 위기의 해양 생물과 스쿠버 다이빙 2탄 1. 듀공바다소의 일종입니다. 보통 산호초가 있는 얕은 바다에서 살며 아프리카, 홍해, 호주 등에 서식합니다. 현재는 대부분 호주 일대에 살고 있습니다. 초식성 포유류이며 해초만 고집하여 먹기 때문에 바닥에 해초 군락이 있는 곳에서만 살고 있습니다. 다 자란 개체는 보통 2m 정도로 몸무게는 250kg 정도입니다. 보통 암컷이 수컷보다 몸집이 더 크다고 합니다. 수명이 상당히 긴 편인데 가장 오래 산 개체는 73살입니다. 천적이 적은 편이지만 범고래 상어등의 사냥감이 됩니다. 종종 숨을 쉬로 수면 위로 올라와야 하기 때문에 깊은 수심을 선호하진 않습니다. 보통 2분 30초 정도에서 최대 6분간 숨을 참고 잠수가 가능합니다. 듀공은 다른 포유류들보다 늦게 성적으로 성숙해지기 때문에 첫 출산이 10-17세 .. 2025. 2. 11. 멸종 위기의 해양 생물과 스쿠버 다이빙 1탄 1. 만타레이(대왕쥐가오리)마치 하늘을 날아다니는 듯한 착각을 일으키게 만드는 대왕쥐가오리입니다. 날개 같은 넓은 지느러미로 우아하게 유영하는 만타 레이를 보고 있으면 황홀한 감정에 빠지게 됩니다. 현존하는 가오리류 중에서 가장 큰 종이며, 학명은 모불라 비로스트리스(Mobula birostris)입니다. 다이버들에게는 주로 만타 레이라고 불리는데 여기서 "만타(Manta)"는 스페인어로 담요에서 유래되었습니다. 평균 지느러미 너비가 3-4.5m에 체중이 1톤 정도 나갑니다. 날개의 길이가 최대 9m에 몸무게가 2톤이 넘는 개체도 있습니다. 대왕쥐가오리는 북반구와 남반구 열대, 온대 지역에 걸쳐 분포해 있습니다. 한 지역에 머물지는 않고 먹이를 찾아 먼 거리를 이동하는 어류이며 육지에서는 멀리 떨어진 바.. 2025. 2. 11. 이전 1 2 3 4 5 6 7 ··· 9 다음 반응형